자동차 이야기

부동액 색깔 종류 교체주기 알아보기

Run수경 2023. 12. 3. 10:45
반응형

 

부동액은 자동차의 엔진이나 라디에이터에서 열을 빼내는 역할을 하는 액체로, 엔진의 과열을 방지하고 부식이나 동결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부동액은 색깔별로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각각의 색깔은 부동액의 성분과 특성을 나타냅니다. 부동액의 색깔에 따른 종류와 차이점, 교환 방법과 주의사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부동액색깔종류
부동액 색깔 종류

 

 

목차

     

     

    부동액 색깔 종류와 차이점

     

     

    부동액 색깔 종류와 차이점
    부동액 색깔 종류와 차이점

     

    부동액에는 여러 가지 색깔이 있는데요. 일반적으로 녹색, 적색, 노란색, 핑크색, 파란색 등이 있습니다.

     

    색깔은 부동액의 성분과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차량 제조사나 모델에 따라 사용하는 부동액이 다를 수 있습니다. 부동액의 색깔별로 구분할 수 있는 성분과 대표적인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녹색 부동액

     

    • 주성분: 에틸렌글리콜을 주성분으로 하는 부동액
    • 첨가제: 인산염이나 규산염과 같은 무기산 첨가제
    • 효과: 철이나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의 부식을 방지하는 효과
    • 교환 주기: 보통 2년 또는 4만km 정도
    • 브랜드: 현대, 기아, 삼성 등의 구형 승용차

     

    🔻대충 넣었다가 후회합니다...🔻

    부동액색깔다른이유

     

     

    적색 부동액

     

    • 주성분: 프로필렌글리콜
    • 첨가제: 카르복시산염과 같은 유기산 첨가제
    • 효과:무기산 첨가제보다는 친환경적이고, 냉각 효율이 높음
    • 교환 주기: 5년 또는 10만km 정도
    • 브랜드: 폭스바겐, GM, 토스카, 마티즈 등

     

     

    부동액 색깔 무슨 차이
    부동액 색깔 무슨 차이

     

     

     

     

    노란색 부동액

     

    • 주성분: 에틸렌글리콜을 주성분
    • 첨가제: 규산염과 같은 무기산 첨가제
    • 효과: 유럽에서 지하수에 미네랄 성분이 많아 주로 사용
    • 교환주기: 녹색부동액과 비슷
    • 브랜드: 벤츠나 쌍용의 구형 차량

     

     

    엔진룸의 냉각수 탱크

     

     

     

    핑크색 부동액

     

    • 주성분: 에틸렌글리콜
    • 첨가제: 유기산 첨가제와 무기산 첨가제를 혼합한 하이브리드 타입
    • 효과: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고, 부식 방지 효과 우수
    • 교환 주기: 10년 또는 20만km 정도
    • 브랜드: 폭스바겐, 아우디 등

     

     

    🔻꼭 알아두세요🔻

     

     

    파란색 부동액

     

    • 주성분: 에틸렌글리콜을 주성분
    • 첨가제: 규산염과 유기산 첨가제를 혼합한 하이브리드 타입
    • 효과: 핑크색 부동액과 비슷
    • 교환 주기: 핑크색 부동액과 비슷
    • 브랜드: BMW, 신형 벤츠, GM, 삼성, 현대, 쌍용 등의 신형 차량

     

     

     

     

     

    부동액 교환방법

     

     

    부동액은 정기적으로 교환해야 하는 소모품입니다. 직접 교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초보자도 할 수 있는🔻

     

     

     

    부동액 교환방법
    부동액 교환방법

     

    • 차량을 시동을 끄고, 엔진이 식을 때까지 기다립니다.
    • 라디에이터 캡을 열고, 라디에이터 하부에 있는 배수구를 열어서 오래된 부동액을 배출합니다.
    • 배수구를 닫고, 새로운 부동액을 라디에이터 캡으로부터 채워 넣습니다. 부동액의 양은 차량 매뉴얼에 따라 다르므로, 확인해 보세요.
    • 라디에이터 캡을 닫고, 차량을 시동을 걸고, 히터를 최대로 틀어서 부동액이 순환하도록 합니다.
    • 엔진이 온도계의 중간 지점에 도달하면, 시동을 끄고, 라디에이터 캡을 다시 열어서 부동액의 수준을 확인합니다. 부족하면 추가로 채워 넣습니다.

     

    냉각수색깔바뀌면

     

     

     

     

    부동액 교환시 주의사항

     

     

    부동액을 교환할 때 주의할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부동액섞으면생기는일

     

     

    • 부동액은 독성이 있으므로 피부나 눈에 닿지 않도록 조심하고, 만약 닿으면 즉시 물로 씻으세요.
    • 부동액은 환경오염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배출한 부동액은 적절하게 처리하세요. 가까운 정비소나 재활용 센터에 문의하시면 됩니다.
    • 부동액은 색깔별로 성분과 특성이 다르므로 섞어서 사용하지 마세요. 부동액의 성능이 저하되거나, 침전물이 생겨서 냉각 시스템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 부동액은 차량 제조사나 모델에 따라 사용하는 종류가 다르므로, 차량 매뉴얼을 확인하고 적합한 부동액을 사용하세요.

     

     


     

    [함께 보면 좋은 글]

     

     

     

    추운날 시동 잘 안걸리는 문제

    겨울에는 차량의 성능이 저하되기 쉬우며, 아침이나 새벽에 발생하는 시동 문제는 흔하게 발생하는 고장입니다. 시동이 안 걸리면 출근이나 이동 시 불편을 겪을 수 있으니, 미리 예방하고 대처

    kim4home.runkim4.com

     

     

    눈올때 운전방법 기어, 브레이크, 엑셀 조작

    오늘은 겨울철 운전자들에게 꼭 필요한 정보를 공유하려고 합니다. 바로 눈 올 때 운전방법입니다. 눈이 내리는 날 운전을 하면 어떤 위험과 어려움이 있는지, 그리고 어떻게 해결하고 예방할

    kim4home.runkim4.com

     

     

    자동차세 연납 폐지 이유, 할인방법은?

    자동차세 연납은 자동차세를 1월에 한 번만에 납부하면 세액을 일부 공제해주는 제도입니다. 이 제도는 2010년부터 시행되었으나, 2026년에는 없어질 예정입니다. 왜 그럴까요? 그리고 자동차세

    kim4home.runkim4.com

     

     


     

     

    이상으로 부동액 색깔 종류와 차이점, 교환 방법과 주의사항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부동액은 자동차의 냉각 시스템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적절하게 교환해야 합니다.